SEMICON China 2025 개막 기조연설 요약

2023년 반도체 시장이 11% 하락하며 하락 사이클을 경험했으나, 2024년 반등하며 19% 성장하여 6,28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5년에는 두 자릿수 성장이 예상되며, 2030년까지 반도체 시장이 1조 달러 규모에 도달할 전망이다.

그는 2025년을 기점으로 나타나는 세 가지 거대한 변화(Megatrends)를 강조했다.

 

안녕하세요. 달차입니다.

이번에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Semicon China 2025 개막연설을 요약하여 정리했습니다.

현재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중국은 무시할 수 없는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런 상황에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 알아보고, 시장의 방향을 이끌어갈 수 있는 혁신을 가져야 할 듯 합니다.


 

SEMICON China 2025 개막 기조연설: 반도체 기술 혁신과 AI가 이끄는 산업 생태계 변화

 

세계 최대 규모와 최고 사양을 자랑하는 반도체 산업의 대표 행사 SEMICON China 2025가 3월 26일 성대하게 개막했다. 이번 개막 기조연설에서는 글로벌 반도체 업계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산업 구조, 첨단 기술, 시장 동향을 심도 있게 분석했다.

Semicon China 2025 Openning

 

반도체 시장의 반등과 AI 혁신의 가속화

 

SEMI 글로벌 부사장이자 중국 지부 대표인 주룽(Ju Long)은 개막 연설에서 2023년 반도체 시장이 11% 하락하며 하락 사이클을 경험했으나, 2024년 반등하며 19% 성장하여 6,28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5년에는 두 자릿수 성장이 예상되며, 2030년까지 반도체 시장이 1조 달러 규모에 도달할 전망이다.

그는 2025년을 기점으로 나타나는 세 가지 거대한 변화(Megatrends)를 강조했다.

 

  1. 국제 지정학적 변화: 유럽과 중동을 비롯한 지역에서 불확실성이 증가하며, 반도체 공급망의 지역화와 기술 탈동조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2. 글로벌 무역 질서의 재편: 관세 인상과 무역 장벽이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며, 비용 상승과 시장 단절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3. AI 혁명: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 도구가 보편화되며, 인공지능이 향후 인류 문명의 운영 체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AI를 위한 고성능 반도체 칩이 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글로벌 리더들의 연설 및 주요 인사이트

 

중국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 푸둥(浦东)

푸둥 신구(浦东新区) 구청장 우진청(Wu Jincheng)은 연설에서 푸둥이 800개 이상의 반도체 기업20만 명 이상의 산업 인재를 보유하며, 중국 반도체 산업의 핵심 지역으로 성장했음을 강조했다. SEMI와의 협력을 통해 SEMICON China가 세계 최대 반도체 산업 행사로 자리 잡았으며, 국제 교류와 협력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I 시대, 반도체 기술과 산업 변화

SEMI CEO 아짓 마노차(Ajit Manocha)는 영상 연설을 통해 AI 및 기타 성장 동력이 반도체 시장을 2030년까지 1조 달러 규모로 성장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SEMI가 인재 육성, 지속 가능성,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전자상회 회장 왕닝(Wang Ning)은 AI 연산 능력과 스마트 전기차(EV) 산업이 반도체 성장의 두 가지 주요 동력이라며, 혁신, 생태계 협력,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술 혁신과 차세대 반도체 발전

  • 화홍반도체(Hua Hong Semiconductor) CEO 바이펑(Bai Peng): 반도체 기술 발전과 공정 혁신이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이며, 이기종 집적 기술이 새로운 방향이 될 것으로 전망.

 

  •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 유승(Liu Sheng): 반도체 설계 및 제조에서 EDA, 장비, 소재 국산화가 필수적이며, 고급 패키징 기술이 미래 반도체 발전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발표.

 

  • 장뎬테크놀로지(JCET) CEO 정리(Zheng Li): AI 시대에는 반도체 산업이 개방형 협력과 생태계 구축을 통해 기술 혁신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강조.

 

  • TEL CTO 세키구치 아키히사(Akihisa Sekiguchi): AI,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등 기술 발전이 반도체 산업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글로벌 협력이 필요하다고 발표.

 

  • ASMPT 반도체 솔루션 CEO 린준친(Lin Junqin): 첨단 패키징(AP) 및 이기종 집적(HI)이 반도체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이며, 2025년 CoWoS 패키징 기술이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

 

SEMICON China 2025의 의미와 미래 전망

 

올해 SEMICON China 2025전시 면적 10만㎡, 1,400개 기업 참가, 5,000개 부스 운영, 20개 이상의 동시 컨퍼런스 및 이벤트 개최 등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반도체 설계, 제조, 패키징, 장비, 소재, 태양광, 디스플레이 등 전 산업 분야를 아우르는 협력과 교류의 장으로 자리 잡고 있다.

SEMICON China 2025의 개막 기조연설은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조망하는 중요한 자리였다. AI, 첨단 패키징, 반도체 소재 및 공정 혁신 등 주요 기술 트렌드가 반도체 산업을 지속적으로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는 이번 행사를 통해 협력과 혁신을 강화하며, 반도체 산업의 황금기를 맞이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을 시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