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양광 ]중국 태양광 패널 제조사 인도네시아 진출

안녕하세요 달차 입니다.

이번에는 중국의 태양광 패널 제조사들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 업체들은 이미 세계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미중 제재 및 관세 문제로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에 진출한 중국 태양광 패널 제조사 들이 인도네시아나 라오스로 이전을 준비한다고 합니다.

이 내용을 다뤄 보겠습니다.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에너지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태양광 패널 생산과 기술 개발에서 선두주자로서,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은 다양한 전략을 통해 국제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며, 특히 인도네시아와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로의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진출 현황 및 계획

중국의 주요 태양광 기업들은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생산 거점을 이전하거나 새로운 시설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관세 장벽을 피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아래 표는 이러한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진출 현황과 향후 계획을 정리한 것입니다.

                                                         < 기업명진출 현황 및 계획주요 내용 >
레소 반하오
(Lesso Banhao)
인도네시아에 '레소 신에너지 그린비즈니스 센터' 설립 사마네아 하이브리드 트레이드 아울렛 내 약 800제곱미터 면적의 센터 설립. 약 2만6,000제곱미터 면적의 지붕에 태양광 패널 설치하여 연간 665만kWh 이상의 전기 생산 예정.
뉴이스트솔라
(New East Solar)
인도네시아에 태양광 패널 및 전지 공장 설립 미국의 관세 조치 영향권에서 벗어나기 위한 전략으로, 인도네시아에서의 생산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대응.
임페리얼스타솔라
(Imperial Star Solar)
라오스에 공장 설립 미국의 관세를 회피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전략으로, 라오스에서 생산 능력을 강화.
기타 중국 기업들 인도네시아와 1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및 거래 계약 체결 전기자동차, 배터리, 태양광, 디지털 경제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

 

 

중국 주요 태양광 기업 소개

아래는 글로벌 태양광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다. 이들은 혁신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진출 가능성이 있는 주요 업체들이기도 하다.

기업명 본사 위치 주요 제품 특징
Jinko Solar 저장성 고효율 단결정 및 다결정 패널 (Eagle 시리즈)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Tier 1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
Trina Solar 장쑤성 단결정 및 다결정 패널, 양면 패널 (Vertex 시리즈) 글로벌 시장 점유율 높은 혁신적 태양광 기업
JA Solar 허베이성 PERC 셀, 단결정 및 다결정 패널 태양전지 효율 부문에서 다수의 세계 기록 보유
LONGi Solar 산시성 고효율 단결정 패널 (Hi-MO 시리즈) 세계 최대 단결정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
Suntech Power 장쑤성 HyPro 시리즈 단결정 패널 글로벌 유통망을 통한 다양한 프로젝트 수행
Canadian Solar 소주 BiKu 양면 패널 R&D에 집중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 확보
Risen Energy 저장성 고효율 및 신뢰성 높은 패널 글로벌 시장 확장에 집중하는 기업
Talesun Solar 장쑤성 단결정 및 다결정 패널 성능과 내구성에서 우수한 평가
GCL 시스템 통합 장쑤성 단결정 및 다결정 패널 경쟁력 있는 가격과 높은 효율성 제공
BYD Solar 심천 단결정 및 다결정 패널 혁신 중심의 지속 가능한 기술력 보유
Sungold Solar 심천 휴대용 태양광 솔루션 야외 및 주거용 휴대용 태양광 패널 전문
Chint Solar 저장성 단결정 및 다결정 패널 신뢰할 수 있는 품질과 혁신 기술 보유

국제 태양광 패널 시장 현황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에너지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은 태양광 패널 생산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태양광 에너지의 경제성 :  태양광 에너지는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인해 비용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현재 태양광은 가장 저렴한 에너지 원천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태양광 설치 증가의 주요 요인입니다.

 

    • 중국 기업들의 도전과 대응: 중국의 주요 태양광 기업들은 국내외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과 가격 하락으로 인해 수익성에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룽지그린에너지(Longi Green Energy)는 2024년 상반기에 7억4,0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기업들은 생산 비용 절감과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해 동남아시아 등으로 생산 거점을 이전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 미국의 관세 정책과 중국 기업의 대응: 미국은 중국 태양광 제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며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여 중국 기업들은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로 생산을 이전하였으나, 이러한 국가들에도 관세가 확대되자 인도네시아와 라오스 등으로 생산 거점을 옮기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의 신재생 에너지 정책과 전망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5년까지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23%를 재생 에너지로 충당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태양광 에너지, 특히 옥상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에 주력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옥상 태양광 발전량 6.5기가와트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inni-today.com

이러한 정부의 정책 방향은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진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충분한 일조량과 넓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향후 태양광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결론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에너지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중국은 이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중국 태양광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정책과 글로벌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여 인도네시아와 같은 동남아시아 국가들로 생산 거점을 이전하거나 새로운 시설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정부의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과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태양광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중국 기업들의 진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