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달차입니다.
이번엔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찾아왔습니다.
제가 잠시 몸을 담았던 업계이지요...
그래서 이번에는 중국에서 급격하게 솟아오른 BOE (Beijing Optoelectronics)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쓰는 글은 누군가 말하는 국뽕 이런거 없습니다.
객관적인 입장에서 설명하는 내용들이니 재밌게 읽고, 참고만 해주세요.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 BOE의 공장 건설 역사
BOE(京东方, Beijing Oriental Electronics)는 중국을 대표하는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로, LCD와 OLED를 포함한 첨단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BOE는 1993년 설립 이후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주요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특히, 대규모 공장 건설을 통해 생산 능력을 빠르게 확장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를 위협하는 존재로 자리 잡았습니다.
BOE 공장 건설 연혁
BOE는 중국 전역에 여러 개의 대형 디스플레이 공장을 건설하며 꾸준히 생산능력을 확장해 왔습니다. 다음은 BOE의 주요 공장 건설 연혁을 정리한 표입니다.
< 생산라인위치세대(G)주요 생산 제품설립 연도 >
B1 | 베이징시 | 5 | LCD | 2003년 |
B2 | 청두시 | 4 | LCD, AMOLED 연구개발 | 2009년 |
B3 | 허페이시 | 6 | LCD | 2011년 |
B4 | 베이징시 | 8 | LCD | 2013년 |
B5 | 허페이시 | 8.5 | OLED | 2015년 |
B6 | 오르도스시 | 5.5 | LCD, OLED | 2017년 |
B7 | 청두시 | 6 | 플렉서블 OLED | 2019년 |
B8 | 충칭시 | 8.5 | LCD | 2020년 |
B9 | 허페이시 | 10.5 | LCD | 2021년 |
B10 | 푸저우시 | 8.5 | LCD | 2022년 |
B11 | 몐양시 | 6 | 플렉서블 OLED | 2022년 |
B12 | 충칭시 | 6 | 플렉서블 OLED | 2023년 |
B15(예정) | 푸저우시 | 6 | 플렉서블 OLED | 예정 |
B16 | 청두시 | 8.6 | 플렉서블 OLED | 2026년 |
B17 | 우한시 | 10.5 | LCD, OLED | 2024년 |
B20 | 베이징시 | 6 | LCD | 2025년 |
BOE의 주요 공장 및 기술 발전
1. 초기 LCD 생산 공장 (2003~2011년)
BOE는 2003년 베이징에서 첫 번째 5세대(G5) LCD 공장을 가동하며 디스플레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습니다.
이후 2009년과 2011년에 각각 청두와 허페이에 4세대(G4) 및 6세대(G6) 공장을 설립하여 LCD 패널 생산 역량을 강화했습니다.
2. LTPS 및 OLED 생산 도입 (2013~2019년)
2013년 BOE는 베이징과 허페이에 8세대(G8) 및 8.5세대(G8.5) 공장을 설립하며 대형 LCD 패널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했습니다. 이후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청두, 오르도스, 충칭 등에 플렉서블 OLED 생산 공장을 가동하며 OLED 시장에서도 존재감을 키웠습니다.
3. 최신 공장과 차세대 디스플레이 전략 (2020~현재)
2020년 이후 BOE는 OLED와 LCD 생산을 더욱 확대하며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을 높였습니다. 특히, 2022년이후 몐양, 충칭, 푸저우 등에서 새로운 플렉서블 OLED 생산라인을 추가하며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BOE의 미래 전망
BOE는 LCD뿐만 아니라 OLED 및 Micro-LED, Mini-LED 등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습니다.또한, 애플의 OLED 패널 공급사로 선정되는 등 글로벌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향후 BOE는 기술 혁신과 생산능력 확장을 바탕으로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입지를 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BOE가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에 미칠 영향
BOE의 빠른 성장과 대규모 투자 확장은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가격 경쟁 심화 : BOE는 공격적인 생산량 확대와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저렴한 가격의 LCD 및 OLED 패널을 공급하고 있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가격 경쟁에서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 OLED 시장 내 경쟁 가속화 : BOE는 OLED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플렉서블 OLED,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에서 삼성디스플레이와 직접적인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및 태블릿 OLED 패널 시장에서 BOE의 점유율이 증가하면서 한국 기업들의 시장 지배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애플 및 글로벌 브랜드 공급 확대 : BOE는 애플을 포함한 글로벌 IT 기업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의 주요 고객을 빼앗길 위험이 커지고 있습니다.
-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경쟁 : Micro-LED, Mini-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서도 BOE가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어 한국 기업들과의 기술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결론적으로, BOE의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디스플레이 업계는 차별화된 기술 혁신과 프리미엄 제품 전략을 강화해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고부가가치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그럼 글 읽으신 모든 분들 행복하세요..
'중국 최신 산업 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산업] 중국의 주요 옥외형 Naked Eye 3D 디스플레이 기업 (5) | 2025.03.16 |
---|---|
[ 태양광 ]중국 태양광 패널 제조사 인도네시아 진출 (3) | 2025.03.14 |
【Kotra】중국산 몰리브덴 의존도 높은 한국, 괴·분말 가격 변동 대비 필요 (0) | 2025.03.13 |
[과학기술] 중국, 세계 최초 탄소기반 AI 칩 개발 (2) | 2025.03.12 |
최근 부각된 중국에 의존하는 반도체 원재료 5가지 (2)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