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문화] 월병의 역사와 변화

안녕하세요 달차입니다.

오늘은 중국의 식문화중 월병 (月饼,Mooncake )을 들고 왔습니다.

중국의 월병은 먹어도 보고, 들어도 봤는데, 이게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궁금해서 조사해보다가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월병 (月饼,Mooncake )

 


월병의 역사와 현대적 변화

월병(月饼)은 단순한 간식이 아닌, 오랜 역사를 지닌 중국 전통 음식이다. 중추절(中秋节, 추석)과 깊은 연관이 있으며, 오늘날에는 전 세계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중화권 대표 디저트로 자리 잡았다. 월병의 기원과 발전 과정, 해외에서의 평가, 그리고 현재 인기 있는 다양한 월병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월병의 기원과 발전

1. 월병의 초기 형태: 태사병과 호병

월병의 기원은 기원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은(殷)나라와 주(周)나라 시대에는 태사 문중(太师闻仲)을 기리기 위해 ‘태사병(太师饼)’이라는 둥글고 두꺼운 빵을 만들어 먹었다. 이것이 월병의 시초로 여겨진다.

이후 한(汉)나라 시대, 장건(张骞)이 서역(西域, 중앙아시아)에서 참깨와 호두 등의 식재료를 들여오면서 월병의 재료가 더욱 다양해졌다. 당시 둥글고 얇은 ‘호병(胡饼)’이라는 빵이 등장했으며, 이는 오늘날 월병의 원형으로 볼 수 있다.

 

2. '월병'이라는 이름의 유래

‘월병(月饼)’이라는 명칭은 당(唐)나라 때 탄생했다는 설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어느 날 당 현종(唐玄宗)과 양귀비(杨贵妃)가 보름달을 보며 ‘호병’을 먹고 있었는데, 당 현종이 이름이 세련되지 않다고 하자, 양귀비가 달을 보며 “월병(月饼)”이라고 부른 것이 그 유래라고 한다. 이후 ‘월병’이라는 명칭이 점차 확산되었다.

 

3. 월병과 중추절의 결합

중추절과 월병이 연결된 것은 역시 당나라 시대부터다. 당시 명장 이정(李靖)이 중추절에 승리를 거두고 돌아왔을 때, 토번(吐蕃, 티베트) 사절이 둥근 빵을 진상하며 축하했다. 이를 본 당 고조(唐高祖)가 “이 호병을 달과 함께 나누자”고 말한 것이 중추절에 월병을 먹는 전통의 시초가 되었다.

명나라에 이르러 월병은 중추절을 대표하는 간식으로 자리 잡았고, 빵 위에 ‘항아(嫦娥)’, ‘달 토끼(玉兔)’ 등의 문양을 새겨 넣으며 문화적 요소도 가미되었다.

 

4. 월병의 발전과 다양화

송(宋)나라 시기, 월병의 제작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궁중에서는 ‘궁병(宫饼)’, 민간에서는 ‘소병(小饼)’ 또는 ‘월단(月团)’이라 불렀다. 명·청(明清) 시대에는 다양한 월병이 등장하며 대중화되었고, ‘오인월병(五仁月饼)’, ‘두사월병(豆沙月饼)’ 등 전통적인 월병의 형태가 정착되었다.

 

해외에서 바라본 월병

 

중국의 월병 문화는 이제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홍콩, 대만, 싱가포르 등 중화권을 비롯해 일본, 한국, 미국 등에서도 월병이 판매되고 있으며, 중추절 시즌이 되면 고급 선물세트로도 인기가 높다.

하지만 해외에서의 반응은 엇갈린다.

  • 긍정적인 평가: 중국의 전통을 담은 고급 디저트로 인정받으며, 특히 홍콩식 월병(광식월병, 广式月饼)의 고소한 맛과 다양한 속재료가 호평을 받는다.
  • 부정적인 평가: 일부 서구권 소비자들은 월병이 지나치게 달거나 기름지다는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또한 달걀 노른자가 들어간 ‘단황월병(蛋黄月饼)’은 호불호가 크게 갈리는 편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저당 월병, 고단백 월병, 비건 월병 등 건강을 고려한 새로운 스타일이 등장하며 해외 소비자들의 입맛을 맞추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월병의 다양한 종류

현대에 들어 월병은 그 종류와 스타일이 더욱 다양해졌다. 대표적인 월병의 종류를 살펴보자.

 

1. 광식월병(广式月饼, 광둥식 월병)

  • 대표적인 중국 월병으로, 얇은 밀가루 피에 다양한 속재료(연자페이, 단황, 오인 등)를 넣고 구운 것이 특징이다.
  • 달콤하고 기름진 맛이 특징이며, 중추절 선물로 인기가 높다.

广式月饼, 광둥식 월병

 

2. 소식월병(苏式月饼, 쑤저우식 월병)

  • 바삭한 겹겹이 층이 있는 페이스트리 스타일의 월병.
  • 속재료로 돼지고기, 팥소 등이 들어가며 단맛과 짠맛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苏式月饼, 쑤저우식 월병 .

 

3. 경식월병(京式月饼, 베이징식 월병)

  • 두꺼운 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월병으로, 겉이 단단하고 속이 풍부하다.
  • 팥소, 호두, 참깨 등을 사용하며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京式月饼, 베이징식 월병

 

4. 운남월병(云腿月饼, 운남 햄 월병)

  • 중국 운남 지역에서 유명한 월병으로, 햄과 설탕을 혼합한 독특한 단짠 조합이 특징이다.

云腿月饼, 운남 햄 월병

 

5. 빙피월병(冰皮月饼, 아이스 스킨 월병)

  • 광동 지역에서 시작된 월병으로, 쌀가루를 이용한 반투명한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 일반적으로 냉장 보관하며, 과일 맛, 초콜릿 맛 등 현대적인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 아이스크림 월병이라고 보면 된다.

冰皮月饼, 아이스 스킨 월병

6. 현대 퓨전 월병

  • 초콜릿 월병, 티라미수 월병, 말차 월병 등 젊은 소비자들을 겨냥한 다양한 창의적인 월병들이 등장하고 있다.
  • 일부 브랜드에서는 저당, 비건, 고단백 버전도 출시하고 있다.

맺음말

월병은 단순한 간식이 아니라, 중국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상징적인 음식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전통적인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월병이 등장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월병, 여러분은 어떤 종류를 가장 좋아하는가? 중추절이 다가오면 한 번쯤 월병을 맛보며 그 역사와 의미를 떠올려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월병은 화목과 화합의 의미가 크다고 합니다.

모든분들 모두 화목하세요. ^^7